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2021 年

gractor - 1일차

by ddubbu 2021. 2. 18.
728x90
반응형

2월 18일 첫 출근

 

어제 저녁, 출근을 앞두고 기대 반 걱정 반으로 잠을 이루지 못했다. 서울에 위치하는 기업에 통근해야해서 결과가 나오자마자 부랴부랴 지방에서 올라왔다. 그래서 신체적으로는 피곤했음에도 잠이 오지 않았다. 바로 이틀 전, 그러니깐 월요일 기업협 프로젝트 아이디어 발표를 듣고 일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고민하지 않고 지원서를 빠르게 준비해 제출했고 혹여 떨어질까 걱정되었지만 다행히도 함께 일해보자는 연락을 주셨다. (오늘에서야 들었지만 지원자가 2명 밖에 없었고 모두 뽑았다고 말씀해주셨다. 괜히 떨었나 싶기도 하다 ㅋㅋ) gractor는 IoT 플랫폼을 토대로 스마트팜, 스마트홈 등의 시장에서 성장하고 있는 기업이다. 스타트업에서 시작해 2021년 기준 5년째 접어들었고, 현재는 사업의 규모를 늘리기 위해 인력 증원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씀해주셨다. 인력 한명 한명이 소중하다보니 코드스테이츠에서 투입된 나와 다른 팀원분께서는 풀스택으로 기술력을 따라가야했다. 다른 이에겐 이 점이 부담될 수 도 있지만, 나는 그 점이 솔깃하여 지원하였다. 2주 프로젝트 때 프론트 포지션을 맡았고 4주 프로젝트에서는 백엔드 포지션을 계획 중에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오늘 바로, 남아도는 컴퓨터에 원격 서버를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처럼 찐 장비를 만지는 작업이 진짜 백엔드 개발자가 되는 과정으로 느껴져 매우 흥미로웠다.) 또한 프로젝트 참여도에 따라 입사 기회가 주어진다. 이건 기회다.

 

오늘만 1시간 늦은 10시까지 출근해서 대표님 및 여러 연구원님들과 인사 나누고 자리 배정받았다. 그리고 사내 chat에 초대되고, 출퇴근 지문 등록 등 이곳의 인턴처럼 대우를 해주셔서 모든 과정이 설레었다. 마치 작년 여름방학 때 랩실 인턴했던 느낌도 들었다. 설레임은 뒤로하고 중요한 것은 프로젝트 및 학습을 성황리에 마치는 것이다. 이번주 목표는 2주 프로젝트 Nuxt.js, docker 로 리팩토링하기 그리고 남은 3주는 기업 제안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다.

 


 

1주차 계획

1. 원격 서버 구축하기

2. dockerize

3. Nuxt.js refactoring

 

 

오늘 한일

1. 2주 프로젝트 local 에 구동하기 (client, server 모두)

2. 원격 서버 구축을 위해 debian OS 세팅

 

집에서

1. TIL, 복습하기

2. Nuxt.js 기본 앱 & server repo dockerize

3. Vue.js, Nuxt.js 공부하기

 

내일 할일
1. 원격서버 구축하기
Debian 10 설치할 때 - SSH 옵션 선택해서 설치하기, utility CLI 로 선택하기, Network 설정하기

2. 구축 완료하고 원격 서버 접근해보기

3. docker 및 Node.js 설치
(참고 키워드)

4. dockerize, Nuxt.js 리팩토링 시작하기

 

 

기억하기 위해 적어 놓은 것

 

✔ 사내 chat 접속하기 위해서 rambox 설치하기

$ sudo snap install rambox

그리고 Add _Custom Service > domain 주소 기입하기 > 끝

 

 ubuntu workspace 전환

[Ctrl] + [Alt] + [↑] / [↓]

 

✔ 개발자라면 개인 서버 및 도메인 구축을 위해 투자하면 좋다.

급하게 구매하지 말고 취직하고, 가성비 따져서 컴퓨터 구매해보자

 

✔ https 구축을 위해 공인 SSL 인증 서비스 알아보기

 

✔ docker 관련 키워드

volume, mount로 가상환경 file 접근 가능

 

✔ Network 관련 키워드
참고자료

  • public/private ip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private ip는 gateway에 연결된 각 device
  • IP (Internet Protocol)
    각 컴퓨터가 한 네트워크 안에서 고유하게 갖고 있는 주소
    A~E 클래스로 구분되어짐. ( A.B.C.D ... )
  • DNS (Domain Name Service)
    ip라는 식별 번호 대신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이름을 붙임.
    호스트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를 위해 개발됨. 
  • TCP
  • LAN
    나와 다른 팀원이 이루고 있는 Local Area Network
    이는 입구 역할을 하는 컴퓨터 (원격 서버 컴퓨터겠네) 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원격 서버 컴퓨터에서는 public ip가 외부랑 연결되어야한다!
  • Netmask
  • Gateway
    원격 서버컴퓨터에서 다른 네트워크 (public ip)로 들어가기 전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이다.
    (그럼 반대로 public ip를 private ip로 NAT 전환하고 gateway로 에서 private ip로 퍼뜨리는 역할도 하겠네?)
  • Subnet (Netmask)
    네트워크 부분은 255, 호스트 부분은 0으로 지정해 ip 주소의 네트워크/호스트 주소를 구분함
    ex) subnet(255.255.255.0)  &&(AND) ip(1.2.3.4) = 네트워크(1.2.3), 호스트(4)

    네트워크 부분은 서로 다른 컴퓨터간 데이터 전송 시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전송 가능한 영역
    호스트 부분은 각 PC

    [실생활 적용 예시]
    "서울시 용산구 A동 B번지"에서 
    네트워크 주소 : 서울시 용산구 A동
    호스트 주소 : B번지

 

✔ linux ip 확인 명령어

$ ifconfig // 간략 버전
$ ip addr show // Network Manager에서 설정한 내용 모두 출력
$ nmcli con show // Network Manager 정보

✔ nginx proxy mode

 

debian 명령어

linux 계열이라 ubuntu 랑 비슷한 듯 다른건 뭘까?

$ su 로 root 로 이동 가능.

반응형

'프로젝트 > 2021 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ctor - 2일차  (0) 2021.02.19
[ETON 프로젝트] 회고록 4  (1) 2021.02.14
[ETON 프로젝트] 회고록3  (0) 2021.02.09
[ETON 프로젝트] 회고록2  (0) 2021.02.07
[ETON 프로젝트] 회고록 1  (1) 2021.02.03